노인 채혈은 일반적인 성인의 채혈과 크게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채혈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노화가 일어난 신체 특성 때문에 채혈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를 수 있는데요, 특히 대형 병원에 내원 하는 환자들 중 노인의 비중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채혈자로서 노인 채혈은 잘 숙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노인 채혈의 실패율을 낮추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공적인 노인 채혈 과정>
1. 혈관 찾기
혈관을 찾을 때는 만졌을 때 최대한 탄력이 있고 길고 굵은 혈관을 찾도록 해야 합니다. 좋은 혈관에서 할수록 채혈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우선은 가장 좋은 혈관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일 팔 안쪽에서 마땅한 혈관을 찾지 못했다면 손등이나 발에서 채혈을 시도해 봐야 합니다. 가장 좋은 혈관을 찾아 선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가늘거나 수축되어 있다면, 온찜질을 하거나 충분한 시간을 들여 마사지를 하거나 두드려주는 등 혈관을 최대한 굵게 확장시킨 다음 채혈을 시도해야 합니다. 단, 두드리거나 마사지 하는 과정에서 약한 혈관은 터질 수도 있으므로 강한 압력을 가하지 않아야 합니다.
2. 토니켓 약하게 묶기
노인의 혈관에서 채혈할 때는 토니켓을 강하게 묶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토니켓을 묶는 이유는 피부 아래에 숨어있는 혈관을 튀어나오게 하여 더 잘 보고, 잘 찾기 위함입니다. 그렇지만 노인 혈관의 경우 탄력이 없고 약하면서 눈에 보일 정도로 두드러지게 확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토니켓을 강하게 묶으면 혈관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주사 바늘이 닿는 순간 혈관이 터지기 쉽습니다. 제대로 주사 바늘을 삽입했다고 하더라도 채혈에 실패하는 원인이 되므로, 확장되어 있으면서 약한 상태인 노인의 혈관에서 피를 뽑을 때는 혈관을 느슨하게 잡아만 준다는 느낌으로 토니켓을 약하게 묶어야 합니다.
3. 혈관 고정하기
노인의 경우, 피부가 얇고 탄력이 저하되어 혈관이 움직이기 쉽습니다. 따라서 혈관이 확장되어 잘 보이더라도 바늘이 닿는 순간 혈관이 움직여서 원하는 지점으로 찔러 넣지 못해서 채혈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채혈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채혈 하려는 손의 반대편 손으로는 피부를 혈관의 아래를 잡고 손목 쪽으로 당기거나, 위쪽으로 당겨서 피부 및 혈관을 팽팽하게 눌러주어 고정해야 합니다. 또한 손바닥으로 채혈 하려는 부위의 아래쪽으로 감싸서 잡은 다음 양쪽으로 잡아 당겨서 팽팽하게 고정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든 채혈자가 가장 편하고 익숙한 방법으로 혈관을 고정하면 됩니다.
4. 바늘로 찌르기(각도 & 속도 낮추기)
노인의 혈관은 대부분 지방층이 다 빠지고 표피와 바로 맞닿아서 얕은 층에 있기 때문에 각도를 거의 주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낮추어 주사 바늘을 찔러 넣어야 합니다. 바늘의 각도를 세워서 깊게 찌르면 혈관을 관통하여 피가 안 나올 수 있고 혈관이 약하기 때문에 터져서 혈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주사 바늘을 찔러 넣을 때의 속도도 중요한데, 노인의 혈관은 탄력이 없고 약하기 때문에 바늘이 닿으면 터지기 쉬우므로 속도를 낮추어 천천히 혈관에 바늘을 삽입해야 합니다.
5. 혈액 채취하기
바늘이 혈관에 잘 들어갔다면 튜브에 혈액을 채취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이 때 진공관으로 혈액을 채취하면 노인의 혈관은 약하고 튜브 내 진공으로 인한 압력 때문에 혈액이 뽑히는 동안 혈관이 터져 버리거나, 피가 바늘 끝에 맺히더라도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혈압이 낮거나 혈관이 약한 노인의 경우에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천천히 잡아당겨서 혈액을 채취하고, 그 다음 진공관에 혈액을 옮겨 담는 것이 좋습니다.
6. 지혈하기
채혈이 끝났다면 제대로 지혈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안정된 자세에서 문지르지 말고 지그시 눌러서 충분히 피가 멎는 것을 확인한 후 손을 떼도록 안내합니다. 문지르면 멍이 들 수 있고 충분히 누르지 않으면 피가 멎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채혈이 끝난 후 지혈 단계에서 환자에게 잘 안내해야 합니다. 또한 아스피린이나 항혈전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지혈 시간이 더 오래 걸리므로 충분히 압박하여 지혈하도록 안내합니다.
출처: 꿀간호사네-신규간호사도우미 – 노인 채혈 방법
지금까지 노인 채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꼭 노인이 아니더라도 중증 환자 등 비슷한 컨디션의 환자가 온다면 위에서 말씀드린 스킬들을 사용하여 채혈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노인 혈관의 특성을 이해하고 채혈을 할 때의 여러 가지 원리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어떤 환자나 어떤 상황이 생기더라도 적합한 스킬을 적용하여 채혈하면 성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채혈자의 마음가짐도 중요하기 때문에 최대한 긴장을 풀고 집중하여 채혈에 임하도록 합니다. 보호자나 환자가 계속 말을 걸거나 쳐다봐서 부담이 되고 집중하기 어렵다면 잠시 다른 데 보거나 말을 걸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여 온전히 채혈에 집중해야 합니다. 어려운 채혈에 대해 너무 걱정하지 말고 열심히 공부하고 연습해보도록 합시다. 😀
자신의 몸에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장수의 비결입니다.
>>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글